이종욱 (의료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종욱은 대한민국의 의료인으로, 세계 보건 기구(WHO)의 제6대 사무총장을 역임했다. 한양대학교에서 건축공학을 전공하고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한 후, 서울대학교 대학원과 미국 하와이 대학교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 WHO에서 한센병 자문관으로 시작하여 소아마비 퇴치, 결핵 퇴치, 에이즈 치료 등 국제 보건 문제 해결에 기여했으며, '3 by 5 캠페인'을 통해 에이즈 치료제 공급을 확대했다. 2003년 WHO 사무총장으로 선출되었으며, 재임 기간 중 담배규제기본협약 비준, 국제보건규칙 개정 등을 추진했다. 2006년 뇌출혈로 사망했으며, 대한민국 정부는 국민훈장 무궁화장을 추서했다. 그를 기리는 이종욱 기념 공중보건상이 제정되어 매년 세계보건기구 연례 총회에서 시상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계 보건 기구 사무총장 - 그로 할렘 브룬틀란
그로 할렘 브룬틀란은 노르웨이 최초의 여성 총리이자, 브룬틀란 위원회 위원장으로서 "지속 가능한 개발" 개념을 제시하고, 세계 보건 기구 사무총장, UN 기후 변화 특사 등을 역임하며 지속 가능한 발전과 보건학 분야에서 국제적인 리더로 활동한 정치인이자 의사이다. - 세계 보건 기구 사무총장 - 나카지마 히로시
일본의 의사이자 세계 보건 기구 사무총장이었던 나카지마 히로시는 재임 기간 동안 소아마비 퇴치 계획을 시작했으나 AIDS 문제 대처 미흡과 행정 능력 부족으로 비판받았다. - 대한민국의 유엔 직원 - 강경화
강경화는 대한민국의 외교관이자 정치인으로, KBS 영어방송 PD, 세종대학교 영문학과 조교수를 거쳐 외교통상부 장관 보좌관, UN 고위직을 역임하고 문재인 정부의 초대 외교부 장관을 지낸 대한민국 최초의 여성 외교부 장관이자 UN 최고위직에 오른 한국인 여성이다. - 대한민국의 유엔 직원 - 반기문
반기문은 대한민국의 외교관이자 제8대 유엔 사무총장으로, 외교관 생활을 거쳐 유엔 사무총장으로 재임하며 국제 현안 해결에 기여하고 파리 기후 협정 체결을 이끌었으며 퇴임 후에도 국제기구에서 활동하고 있다. - 한양대학교 공과대학 동문 - 서수남
1962년 데뷔한 가수 서수남은 하청일과 듀엣으로 '팔도유람', '수다쟁이', '과수원 길' 등의 히트곡을 내며 1960~70년대 가요계를 풍미했고, '가족오락관' 최다 출연, 솔로 활동과 방송, 광고 출연 등 꾸준히 활동하고 있는 방송인이다. - 한양대학교 공과대학 동문 - 남궁원
남궁원은 1958년 영화 《그 밤이 다시 오면》으로 데뷔하여 다수의 영화에 출연하고, 정치인, 광고 모델로 활동했으며, 1970년과 1971년 아시아영화제에서 수상하고 2016년 대한민국 대중문화예술상 은관문화훈장을 받았으나 2005년 다단계 사기 사건에 연루되기도 했다.
이종욱 (의료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어 이름 | 이종욱 |
로마자 표기 | I Jong-uk |
직책 | |
직위 | 제6대 세계 보건 기구 사무총장 |
임기 시작 | 2003년 7월 21일 |
임기 종료 | 2006년 5월 22일 |
이전 | 그로 할렘 브룬틀란 |
이후 | 앤더스 노르드스트롬 |
인물 정보 | |
출생 | 1945년 4월 12일 |
출생지 | 일제강점기 조선 경기도 경성부 |
사망 | 2006년 5월 22일 |
사망지 | 스위스 제네바 제네바 대학교 병원 |
안장지 | 대전현충원, 대전광역시, 대한민국 |
국적 | 대한민국 |
학력 | |
학사 | 한양대학교 (공학) |
석사 | 서울대학교 (의학) |
석사 | 하와이 대학교 (의학) |
기타 정보 | |
직업 | 의사 |
종교 | 로마 가톨릭교회 |
2. 학력
- 1968년 한양대학교 공과대학 건축공학과 공학 학사
- 1976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 학사
- 1978년 서울대학교 대학원 산업공학과 공학 석사
- 1981년 미국 하와이 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학 석사
2. 1. 명예 박사 학위
3. 생애 및 업적
1945년 4월 12일, 일제강점기 경성부 (현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에서 태어났다. 한양대학교 건축공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에 진학하여 1976년 학사 학위를 받았다. 대학 시절 아버지의 사망으로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의료 봉사활동에 참여하며, 일본인 가부라키 레이코(鏑木 玲子) 여사를 만났다. 레이코 여사는 천주교 봉사 자격으로 한국에서 봉사활동을 하고 있었으며, 현재도 페루 리마의 카라바이요구에서 여성과 아동 보호를 위해 봉사하고 있다. 두 사람 사이에는 아들 이충호(일본명 카부라키 타다히로)가 있다.
1981년 레이코 여사와 함께 아메리칸사모아로 건너가 한센병 환자 치료 봉사활동을 했다. 당시 사모아의 가난한 사람들은 의료 혜택을 받지 못했고, 그는 린든 B. 존슨 병원에서 1983년 5월 26일까지 일하며 "아시아의 알베르트 슈바이처"로 불렸다.[22]
1983년 피지에서 한센병 자문관으로 활동하며 세계보건기구 (WHO)에 합류, 남태평양 사무소에서 한센병 예방 업무를 담당했다. 이후 결핵 담당관으로 결핵과 예방 백신 처방이 가능한 질병을 중심으로 아동 질병 예방에 힘썼다.[23]
1994년 WHO 글로벌백신프로그램 및 어린이 백신사업 총괄 책임자를 맡아 ‘소아마비와의 전쟁’을 선포, 1년 뒤 소아마비 발생률을 세계 인구 1만 명당 1명 이하로 낮추는 성과를 냈다. 사이언티픽 아메리칸은 그를 ‘백신의 황제’라 칭했다.
2000년 WHO 결핵퇴치사업국장으로 부임, 글로벌결핵퇴치파트너십(Global Partnership to Stop TB)과 글로벌약품조달기구(Global Drug Facility, GDF) 출범을 이끌었다. 2003년 세계보건기구 제6대 사무총장으로 선출된 후 후천면역결핍증후군 퇴치를 최우선 과제로 삼고 ‘3 by 5 캠페인’을 전개, 에이즈 치료 인식 개선과 지원을 이끌어냈다. 2004년 조류 인플루엔자 확산 방지, 소아마비·결핵 퇴치, 흡연 규제 등으로 타임 (잡지) 선정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100인’에 올랐다.
1983년 WHO 지역사무처 한센병 자문관으로 시작, 사무총장에 이르기까지 20년 이상 활동하며 WHO 개혁과 역할 강화에 헌신했다. 특히 사무총장 재임 시절 추진한 담배규제기본협약 비준, 국제보건규칙 개정, 인플루엔자, 아시아 쓰나미, 파키스탄 지진 활동은 중요한 업적으로 평가받는다.
SCI급 논문 5편을 발표했으며, 2004년-2007년 “세계건강보고서(World Health Report)”를 통해 후천면역결핍증후군, 여성과 아이들, 보건의료인력, 건강과 평화 등 세계가 직면한 위협에 대응하고자 했다.
2006년 5월 22일 세계보건기구 총회 준비 중 지주막하출혈로 쓰러져 사망, WHO장으로 장례식이 치러졌다. 유해는 국립대전현충원에 안장되었다. 대한민국 정부는 2006년 국민훈장 무궁화장을 추서했다.
그의 세계보건기구에서의 주요 경력은 다음과 같다.
기간 | 직책 |
---|---|
1983 ~ 1994 | 세계보건기구 지역사무처 질병예방관리국장 겸 한센병 관련 자문관 |
1994 ~ 1998 | 세계보건기구 지역사무처 글로벌백신프로그램 및 어린이 백신사업 총괄 책임국 국장 |
1998 ~ 2000 | 세계보건기구 지역사무처 자원동원 및 대외협력 업무 담당국 국장 겸 임정책자문관 |
2000 ~ 2003 | 세계보건기구 총기구본부 결핵퇴치사업국 국장 |
2003 ~ 2006 | 세계보건기구 제6대 사무총장 |
4. 주요 경력
연도 | 경력 |
---|---|
1983년 ~ 1994년 | 세계보건기구 지역사무처 질병예방관리국장 겸 한센병 관련 자문관[22][23][3][4] |
1994년 ~ 1998년 | 세계보건기구 지역사무처 글로벌백신프로그램 및 어린이 백신사업 총괄 책임국 국장[5][6] |
1998년 ~ 2000년 | 세계보건기구 지역사무처 자원동원 및 대외협력 업무 담당국 국장 겸 임정책자문관 |
1999년 ~ 2000년 | 세계보건기구 사무총장 특별 대표 |
2000년 ~ 2003년 | 세계보건기구 총기구본부 결핵퇴치사업국 국장 |
2003년 ~ 2006년 | 세계보건기구 제6대 사무총장[6] |
5. 어학 능력
이종욱은 한국어, 영어, 일본어로 대화할 수 있으며, 중국어나 프랑스어로 쓰인 논문을 읽을 수 있었다.[1]
6. 수상
- 2002년 대한민국 보건복지부 국민훈장 모란장[20]
- 2004년 대한적십자사 적십자 인도장 금장[20]
- 2006년 국민훈장 무궁화장[20]
- 2008년 대한의사협회‧한미약품 제1회 한‧미 자랑스런 의사상[20]
- 2010년 세계한센포럼 한센공로상[20]
7. 이종욱 기념 공중보건상
대한민국 정부는 이종욱 박사를 기리는 기념상 제정을 공식 발표했다. 이종욱 박사 사망 이후, 유시민 당시 대한민국 보건복지부 장관은 2007년 세계보건기구(WHO) 회의에서 새로운 상에 대한 계획을 공식적으로 발표하고, 다른 국가 및 관계자들의 참여를 촉구했다.[17] 이성주 당시 대한민국 대표는 이 상이 다음 이종욱 박사를 꿈꾸는 젊은 리더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영감을 줄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18]
2009년부터 매년 5월에 열리는 세계보건기구(WHO) 연례 총회에서 이 상은 주로 "젊은 리더십"과 "보건 관리 기여자" (특히 전염병 분야) 부문에 수여될 예정이다.[19]
참조
[1]
웹사이트
TIME Magazine: TIME 100: Jong-Wook Lee
http://www.time.com/[...]
2007-05-16
[2]
뉴스
Emperor of Vaccines
http://www.busanilbo[...]
Busan Ilbo
2006-05-24
[3]
웹사이트
In Memoriam: Lee Jong-wook
http://www.iaea.org/[...]
2008-01-26
[4]
뉴스
Obituary: Dr Lee Jong-wook
http://news.bbc.co.u[...]
2022-10-21
[5]
서적
옳다고 생각하면 행동하라
Kwon Joon Wook
[6]
웹사이트
Dr Lee Jong-Wook
https://www.independ[...]
2006-05-23
[7]
뉴스
WHO chief dies after blood clot
http://news.bbc.co.u[...]
2022-10-21
[8]
웹사이트
The Times & The Sunday Times
https://www.thetimes[...]
2022-10-21
[9]
웹사이트
Dr Lee Jong-Wook
https://www.independ[...]
2006-05-23
[10]
웹사이트
Official page of WHO
http://www.who.int/m[...]
[11]
뉴스
W.H.O. Chief Undergoes Emergency Brain Surgery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22-10-21
[12]
뉴스
WHO chief Lee Jong-Wook dies suddenly
http://www.turkishpr[...]
Turkishpress.com
2006-05-22
[13]
뉴스
Dr. Lee Jong Wook – WHO chief, enabled AIDS care for the poor
http://www.sfgate.co[...]
SFGate of San Francisco
[14]
웹사이트
Official page of White House
https://georgewbush-[...]
[15]
웹사이트
Lee Jong-Wook
https://www.nndb.com[...]
[16]
뉴스
Mr.Lee's dowager, Reiko ''故 이종욱 전 WHO총장 미망인 레이코 여사''
http://news.mk.co.kr[...]
2006-11-13
[17]
뉴스
유시민 복지 "고 이종욱 총장 기념상 만들겠다"
http://mbn.mk.co.kr/[...]
2007-05-16
[18]
웹사이트
WHO | Tribute to Dr LEE Jong-wook
https://www.who.int/[...]
2008-01-27
[19]
뉴스
New Award to Honor Late WHO Chief Lee Jongwook
http://www.arirangtv[...]
Arirang TV
2007-05-14
[20]
뉴스
[オピニオン]ワクチンの皇帝
http://japanese.dong[...]
東亜日報
[21]
뉴스
【写真】「ワクチンの皇帝」が国立墓地に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2]
뉴스인용
"사모아는 '닥터 리'를 잊지 못합니다" : 고 이종욱 WHO 사무총장이 일했던 사모아 병원 옛 동료들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06-05-28
[23]
뉴스인용
Obituary: Dr Lee Jong-wook
http://news.bbc.co.u[...]
BBC News
2006-05-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